[캐나다유학] 다시 바뀐 PGWP가능 학과, 눈 여겨 볼 과정이 있다?

등록일 : 2025-07-08 / 조회 : 261

 

어느 장단에 춤을(?) 춰야할 지 모르겠는 요즘,

다시금 PGWP관련 규정이 변경되어 어안이 벙벙하시죠?

 

지난 주, 갑작스레 PGWP발급 불가능 학과에

정말 많은 학과들이 포함되어, 각 학교들부터 학생들까지

많은 혼란스러웠는데, 진정 좀 하려고 했더니

다시 규정 변경이 되었…더랬어요?

 

이번 규정은, 이게 뭐여…? 라는 생각이 들지만,

결국 제외했던 학과들을 다시 포함한다는 내용인데요.

PGWP번복.png

 

우선 26년초까지는 현 상황을 유지하되,

머피가 거듭 말씀드리고 있는 것처럼

PGWP가능 전공분야 변동 가능성은 계속 있다고 안내를 주었습니다.

 

따라서 PGWP가능, 불가능에 따라서 내 계획을 정하기 보다는

캐나다 노동시장의 흐름을 파악하면서 계획을 짜시는 것

현명한 유학후이민 방법이라고 다시 한번 말씀 드리고 싶은데요.

 

[번복된 PGWP규정 칼럼 다시 보기] 

 

자, 그런 의미로 다시 원점! 그리고 포함되지 않았었던 과정도

재포함이 되어있는 상황에,

여러분들이 다시 한번 눈 여겨 보시면 좋을

과정들은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pexels-expressivestanley-1454360.jpg

 

먼저 PGWP가능여부는 CIP코드를 통해 확인이 가능한데요,

CIP는 총 6개의 카테고리로 나뉘어져 있고

그 안에 CIP코드별로 수많은 직종이 정리 되어있습니다.

따라서 각 과정들은 이 코드에 맞춰 개편되었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그 중 오늘 안내드릴 과정은 그 동안 빠졌다가

다시 편입되어 눈 여겨볼만한 과정을 짚어볼까 하는데요.

 

먼저 Agriculture and Agri-food 분야입니다.

농업은 정말이지 왜 빠졌었지? 라고 의아할 만큼

캐나다 주력 산업이기에

언제나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분야라고 생각하는데요.

 

농업 관련 과정 중, 가장 많은 관심을 두시는 학과는

원예학과 (CIP 01.0601), 조경학과(CIP 01.0605)로

기초부터 테크니션 포지션까지 졸업 후 취업이 가능하고,

영주권 이후에도 전문직으로 거듭날 수 있기 때문에,

몇 년 전부터 각광받는 학과라고 과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agriculture-2382176_640.jpg

 원예학과의 대표적인 학교로는

올즈컬리지, 팬쇼컬리지, 나이아가라 컬리지, 세인클레어 컬리지가 있고

 

조경학과의 대표적인 학교로는

콴틀란 대학교, NAIT, 험버컬리지가 있겠습니다.

 

특히 농업쪽을 고민한다면 특수성을 살린 학과

꼭 보셔야하는데요.

 

최근 캐나다정부가 부족직군으로 인지하면서,

지난 6월 25일 PGWP규정에서도 이 과정 외,

모든 농업관련 과정을 제거해서 의문이 생겼던 바로,

육가공관련 직종이 되겠습니다.

 

다만, 이 과정의 경우 6개월~1년여 과정으로 개설되어 있기 때문에

PGWP발급이 불가하거나 1년의 짧은 기간만 가능할 수 있습니다.

그나마 1년 과정으로 개설되어 있는 PGWP확보도 확인 가능한 학교로는

SAIT를 추천드릴 수 있겠는데요,

그 외 개설된 학교들을 보시면서 유학후이민을 계획하시는 분들은

머피와 상의해주시면 좋겠습니다!

 

rice-5722754_640.jpg

 

다음으로 특수성을 두고 진학을 고민해봐도 될만한 학과는 바로,

정밀농업학과(Precision Agriculture Techgronomy)입니다.

CIP 01.0000에 포함되어 있는 과정으로

찐! 농업전문가의 길을 걸을 수 있는 과정인데요.

 

올즈컬리지에만 개설되어 있는 유일한 과정으로,

실제 작물 재배에 필요한 모든 것들을 AI, 드론,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극대화하는 것을 배우는 학과이기 때문에

4차산업과 농업의 결합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정밀농업학과 자세히보기]

 

medicine-5677000_640.jpg

 

다음분야는 Health Care and Social services가 되겠습니다.

여기서는 딱 두 과정을 집어볼까 하는데요.

 

바로 Veterinary technician/Assistant(CIP 01.8301)와

dental hygiene(CIP 51.0602) 과정이 되겠습니다.

 

두 분야는 지난 11월 1일 PGWP규정이 변경되면서부터

아예 PGWP발급대상에서 제거된 대표 과정인데요.

 

특히 치위생과정의 경우,

그 동안 많은 한국분들이 선호하는 과정이면서도

국제학생입학이 불가한 학교들도 많이

입학을 염두하고 꼼꼼하게 준비하시는 학과 중 하나였지만,

작년 11월 1일 규정이 바뀌면서

아예 불가하게 되면 헬스분야를 그렇게 강조했으면서도

반년이상 진학을 할 수가 없는 학과였습니다.

 

그런데 이번 7월 4일 다시 번복(?)을 하며

PGWP가능한 학과로 편입되어 관심을 두셨던 분들에게

희소식을 전해드릴 수 있게 되었네요.

 

먼저 Dental Hygiene 학과는 3년과정으로 운영중인 학교가 많기 때문에

학업 기간을 꼭 염두하셔야 합니다.

 

특히 헬스/보건 과정이기 때문에 조건부입학이 어렵고,

학교에 따라서는 입학 조건이 되더라도 프리헬스가 필수! 인 곳도 있기 때문에

진학 및 유학후이민 정착지로 선택을 하려는 지역을 살펴보셔야 합니다.

 

대표적인 학교로는 캐모선 컬리지, VCC,

컨페더레이션 컬리지, 조지안 컬리지, 알공퀸 컬리지, 팬쇼컬리지 등을

안내드릴 수 있겠습니다.

 

다음은 약간은 낯설다고 느끼실 수도 있는

Veterinary technician/Assistant학과인데요.

 

수의보조학과는 최근 몇 년사이 문의가 대폭! 늘었던 과정이면서

한국에서 수의학과를 전공하거나(수의사) 또는

캐나다에서 수의사로 영주권까지 큰 계획을 세우려는 분들에게

많은 인기를 끌고 있는 학과입니다. 

 

특히 각 컬리지들도 수의보조학을 신설하거나 증설하면서

캐나다 내, 수요가 높다는 것을 알려주고(?) 있었으나,

별안간 PGWP 발급 불가능 학과로 포함되어 잠시 주춤! 하게 되었더랬었어요?

 

하지만 최근 번복된(?) PGWP규정 덕분에!

PGWP발급 가능한 과정으로 편입이 되었고,

Veterinary Technician/Assistant직종은 Health 분야에 포함되어

연방은 물론 각 주정부 Health직종 타겟으로도 선발이 되기 때문에

다시 한 번 눈 여겨보면 좋을 학과입니다.

 

대표적인 학교로는 더글라스 컬리지, 올즈 컬리지, 레이크랜드컬리지,

NAIT, 센클레어 컬리지, 센로레스 컬리지, 쉐리던 컬리지 등이 있겠습니다.

 

위에 안내드린 과정 외에도 Civil Engineering Technicain/Technology과정이나

Mechanical Engineering Technician- CNC/CAN,

Mechanical Engineering Technician - Tool & die와 같은 학과도

이번에 다시 포함되어 더욱 폭 넓게 유학후이민을 위한

진학플랜을 짤 수 있게 되었는데요.

 

따라서 PGWP 규정으로 인해 잠시 방향을 잃으셨던 분들도

머피와 함께 차근히 살펴보시면서 다시 준비하시면 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한번 더 강조드리면,

PGWP 규정은 언제든 변경될 수 있습니다.

 

이번 규정 역시 고정된 규정이 아닌 26년 상반기를 두고

다시 정리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이제는 PGWP 가능여부에 중점을 두고

유학후이민을 준비하시기 보다는 캐나다의 산업, 수요의 흐름을

먼저! 파악하시면서 움직이실 것은 추천드립니다.

 

오늘 안내드린 학과 및 앞으로도 안내드릴 머피 추천 과정들은

각 학과별/지역별로 엄선하여! 다시 한번 정리해드릴게요!

 

캐나다 이민을 위한 유학은 상담부터 달라야 합니다.

머피가 캐나다이민/유학의 상담의 질을 높입니다.

 

2025.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