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유학] 농업전문가는 정밀농업을 아느냐 아니냐로 나뉩니다. 올즈 컬리지 Precision Agriculture Techgronomy학과(정밀농업학과)

등록일 : 2025-05-13 / 조회 : 70

요즘은 데이터와 AI없이는 어떤 일이든 원활하지 못한 지경에 이르렀는데요.

아침에 일어나는 순간부터 우리도 모르게

데이터를 쌓고 있고, 매 순간 도움을 받고 있습니다.

 

이미 IT AI기반의 기술은 우리 삶 뿐만 아니라

모든 산업의 영역에도 널리 퍼져 있는데요.

 

농업 역시, 신기술의 발달로 어제와 오늘이 다르게

빠르게 변하고 있습니다.

 

그런 의미로, 오늘 말씀드릴 과정은

, 캐나다 유학후이민을 위해서라기 보다,

앞으로 커리어 변경을 희망하시는 분들이나

미래유망학과로 유학을 하고 싶다 하는 친구들에게도

도움이 될만한 그런! 과정이 되겠습니다.

 

agriculture-8030874_640.jpg

 

바로 정밀농업 과정입니다.

 

정밀농업…..!

들어 보셨나요?

 

정밀농업은 쉽게 말씀드리면 데이터를 기반으로 농작물을 관찰하고

측정하여 농작물 생산을 극대화 하는 농법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정밀농업을 이용하여 운영중인 대표적인 농법으로는 스파트팜

기억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정밀농업은 다양한 방법으로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자원을 보전하면서 수확을 최적화시키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는데요.

따라서 최근 농업은 정밀 농업이냐 아니냐로 나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랍니다.

 

알면 친근한 정밀농업을 이끄는 대표기술로는

위성기술,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드론, 빅데이터 기술과 같은

최첨단 정보/통신기술이라고 볼 수 있는데요.

 

드론과 원격탐사, 항공, 위성사진 등의 병합을 통해

물의 흐름, 토양의 영양상태, 바람, 온도(열전도율) 를 측정하고

씨 뿌리기 좋은 기간과 수확량을 늘릴 수 있는 좋을 지역을 판단하여

효과적인 생산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agriculture-3182252_640.jpg

 

이렇게 수집한 지표에 따라 관리자는

작물의 영양 불균형, 토양의 영양상태, 수분상태 등을 관리할 수 있고,

직접 농작지로 가서 확인하지 않고 원격으로 관리, 업데이트를 하며,

기상에 변화에 따른 피해 및 예측 불가한 상황에

빠르게 대처하여 손실을 줄일 수 있게 됩니다.

 

특히 이러한 시스템 구축은

농작물에게 필요한 모든 지표 각각으로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정밀농업에 관심도와 중요도를 높게 살 수밖에 없는데요.

 

관개시설이나, 토양영양, 작물 성장 등등

필요상황에 맞춰 프로그래밍을 하여 최적의 상태를 계속 유지시킬 수 있는

최고의 방법이기 때문에 정밀농업 전문가와 농작물 전문가가

한 팀을 이뤄 좋은 결과물을 가져오게 됩니다.

 

실례로 정밀농업과 결합된 대형 팜들에서는

이미 센서로 운영을 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예를 들어, 수분센서에 따라 식물에 원격으로

작물에 물을 줄 수 있는 최적의 시기를 결정할 수 있고,

토양센서에서 비료가 부족하다고 판단이 되면,

비료 투여 시기를 결정하거나 영양보충이 필요한 토양에만 직접

비료를 투여할 수 있다고 합니다.

 

modern-farming-8836928_640.png

 

이처럼 정밀 농업의 중요성이 전 세계적으로 주목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은데요.

바로지속가능한 대체 분야이기 때문입니다.

 

정밀농업 전문가는 각 농작물 및 농장에 맞춰 프로그래밍을 하게 되고,

그 시스템을 기반으로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농작물 재배가 이뤄지게 됩니다.

 

, 시스템을 통해 인력, AI, 로봇, 기계가 함께

재배 시설 및 수확, 유통까지 한 번에 컨트롤 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절감은 물론, 농업 대체인력으로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데요.

 

특히, 일반 농장을 스마트팜으로 개조하거나

관련 시스템을 탑재할 수 있도록 변경하고

이로 인해 정밀농업전문가”가 필요해지기 때문에

일자리 창출까지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정밀 농업에 대한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다라고 보실 수 있겠습니다.

 

여러분들이 바로 이 정밀 농업 전문가가 되시는 셈이고요!

 

자 그렇다면, 이런 전문가 어디서 배워야 할까요?

 

바로 올즈 컬리지가 되겠습니다!

화면 캡처 2025-01-13 165648.jpg

최근 캐나다 내 중요 산업 및 디맨드 직종이자

국가 사업이라고 해도 무방할 만큼 연방정부 및 각 주정부가

아낌없는 투자를 하고 있는 분야가 농업인지라

 

각 지역 컬리지들도 농업 관련 학과를 신설하거나

증설하는 움직임을 빠르게 나타내고 있는데요.

 

대체적으로 원예, 조경이나 농업경영과 같은 과정은

디플로마나 준석사 과정 등을 통해 타컬리지들에서도

많이 개설을 해두고 있습니다만,

정밀 농업, 즉 Precision Agriculture Techgronomy라는

전문 프로그램은 찾아보기가 어렵습니다.

 

하지만, 올즈컬리지가 어디지요? 캐나다 대표 농업전문학교이죠!

올즈컬리지에는 Precision Agriculture Techgronomy학과,

정밀농업학과가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라는 듯

벌써부터 있었던 학과였다이 말을 잠시 드립니다?!

 

화면 캡처 2025-05-13 154620.png

 

, 그렇다면 정밀 농업이 어떤 분야인지 아셨으니,

어떻게 전문가가 되는지 무얼 배우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올즈 컬리지 Precision Agriculture Techgronomy학과

2년 디플로마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고요.

9월학기 시작하며, 학비는 1년에 약 19,000불 정도 됩니다!

 

학과 설명에도 농업과학과 함께 첨단기술을 활용해서

작물 생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도움이 되는 과정을

배운다고 안내되어 있는데요.

 

이 첨단 기술은 바로 데이터를 기반으로 심층적인 학업을 한다로

정리하고 있습니다.

 

학과 과정은 다음과 같은데요.

 

정밀농업 코스1.png

 

정밀농업 코스2.png

 

학과 과정은 데이터 분석 및 프로그래밍, 시스템 구축 지식을 기본으로

농업 분야의 특수성이 추가되어 있는데요.

따라서 관련 IT경력이나 전기, 도시개발, 토목 등등

엔지니어 경력이 있는 분들도 접근하시기 용이하시리라 생각됩니다.

 

또한 실제 작물의 재배부터 관리, 유통까지 관리하는 전문가이기 때문에

경영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요.

 

심도 있는 과정을 찾고 계신 분들이라면

정밀농업을 한번 눈여겨 보시는 것도 좋을 듯합니다.

 

무엇보다 정밀농업 학과는 학과 과정 외,

4개월 유급 인턴쉽이 포함이 되어 있습니다.

 

이는 실제 스파트팜이나 정밀농업업무가 필요한 업체에서

실무를 배우고 실습을 하게 되는 과정이면서

유급인턴이기 때문에 경력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답니다!

(알버타 주정부 이민 시, 코업 경력 인정 가능!)

 

agriculture-2382176_640.jpg

 

한편, 이렇게 전문적인 학과를 내가! 과연 입학할 수 있을까..?

하시는 분들을 위해 빠르게 입학규정도 안내 드리겠습니다.

 

2년 디플로마 컬리지 과정이기 때문에

고등학교 이상 졸업 가능합니다!

, 과정에서 보듯이 이공계와 경영이 섞여 있는 학과이므로

고3 수학, 과학(생물, 화학, 물리 등 과학관련 과목) 2과목이 필수 요건이 되겠습니다.

 

영어성적은 아이엘츠 6.0, 듀오링고 110점이며

PTE 55, 토플 80점입니다.

 

조건부 입학은 가능 하나,

올즈 내 부설 어학원이 없기 때문에

파트너사 사설 어학원을 통해 입학이 가능하며,

조건부 입학 시 자녀무상이 불가합니다!

만약 수학, 과학 성적이 없거나 성적이 낮은 분들은

머피에게 상의해주세요!

 

이렇게 2년의 학업을 졸업한 이후에는

3년의 PGWP 확보가 가능한데요. (CLB5 어학성적 보유 필수!)

 

 

정밀농업 PGWP.png

 

정밀농업 PGWP2.png

 

학교에서도 정밀농업관련 학과 졸업생들은

정밀농업 관련 스폐셜리스트부터

각 분야(GIS, 토양, 기후, 곡물, 농법 등등)의 스페셜리스트,

농업 컨설턴트, 정밀농업 테크니션 등등!!

 

농업경영부터 엔지니어(테크니션)자리까지 다양한 분야로 취업을 기대하기 때문에 

다양한 농업분야로 진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컬리지 학위이지만 정말 많은 기회를 잡을 수 있는 학과라고 자신합니다!

 

위에 안내드린 졸업 후 전망 직종은

NOC 22110 Biological Technologists and technicians 코드

해당되는 직종인데요.

 

예시로 agricultural technician이나 Biological technician

직종을 보면 시급 약 33.92불정도의 시급을 예측할 수 있으며,

NOC 22110 Biological Technologists and technicians 코드

해당하는 관련 직종의 경우 65,000~ 75,000불 정도의 고소득을 기대할 수 있겠습니다.

 

화면 캡처 2025-05-13 155213.png

화면 캡처 2025-05-13 151050.png

늘 말씀드리지만 캐나다에서는

경력에 따라 시급은 더 높아지고,

관련 자격증이나 학위를 소지할 경우

그 만큼 연봉이나 커리어 스킬이 높아지기 때문에

정밀 농업과정을 통해서 관련 공부를 하면서

농업 전문가로 시작하기에 좋은 출발이라고 보셔도 되시겠죠?

 

, 이렇게 취업이 되신 여러분들은

정밀 농업 (예비)전문가라는 타이틀을 얻으면서

경력을 쌓게 되실텐데요.

 

본인의 조건에 따라 알버타 주정부 또는 연방이민 프로그램을 통해

영주권 신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현재 캐나다 정부와 각 주정부는 직종 타겟으로

좋은 인재를! 필요한 인재를 전략적으로 뽑으려는 움직임이 있다고

입이 아프게 말씀드리고 있는데요.

 

현재 헬스/보건, Trade, construction, 농업, STEM 분야가 대표적입니다.

 

따라서 캐나다 마크 카니 정부 출범에도 이 직종에 대한 중요도는

눈에 띄게 상승할 추세이고요,

특히 알버타 주정부는 직종타겟에서 농업 분야를

정말 활발! 하게 선발하기 때문에

농업”으로 전략을 삼고 캐나다 이민을 준비하신다면

좋은 결과를 가져올 수 밖에 없는 계획을 갖고 계시다고

말씀 드리고 싶습니다!

 

무엇보다 올즈 컬리지는 RRS, 즉 알버타 외곽 프로그램으로도

영주권 신청이 가능한 지역이기 때문에

더 많은 옵션을 두고 영주권을 준비할 수 있겠습니다.

 

농업 전문가가 도대체 무엇이냐고요?

정밀농업이 바로 농업 전문가가 하는 일입니다.

 

올즈 컬리지 정밀 농업에 대해서 궁금하시거나

 

수속 문의가 있는 분들은 머피에게 언제든 문의주세요!

2025.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