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유학] 올즈컬리지 농업비즈니스 학사과정 (Agribusiness) FAQ

등록일 : 2025-04-11 / 조회 : 118

2년 학업으로 학사 학위를 받을 수 있는 매력적인 학업플랜으로

올즈 컬리지 농업 비즈니스 학사 (Agri-business) 과정

관심을 갖고 계시는 분들이 늘고 계시는데요.

 

화면 캡처 2025-01-13 165648.jpg

 

최근 업데이트 된 이민국 발표에 따르면

학사 과정 졸업생들은 학과에 상관이 없이 PGWP신청이 가능해지면서

컬리지 내에 개설되어 있는 학위 과정까지도 함께 고민하시더라고요.

 

PGWP는 유학 후 취업하여 캐나다에 정착을 하기 위한

가장 좋은 체류 신분이기 때문에,

PGWP규정 변경에 따라 학과 이동을 대거할 만큼

유학후이민을 고민하는 분들에게는 아주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는데요.

 

따라서 이제는 공부가 쉽거나 취업이 잘되는 학과가 아닌!

캐나다 정부가 적극 장려하는 산업에 필요한 인력이 될 수 있는 과정

찾으셔야 합니다.

 

이에올즈 컬리지는 캐나다 유일 농업 전문 학교,

캐나다 정부가 적극 장려하는 농업에 특화된 학교이기 때문에

농업 전문가로 캐나다에 정착하기에도 아주 용이한 학교라고 볼 수 있지요!

 

하지만 농업이라고 하면 아직도! 여전히!

낯설고 와는 거리가 먼~ 분야라고 생각을 하시는데요.

농법을 배우고 농사일을 해야하는 게 아니라고 말씀을 드려도

자꾸만 갸우뚱! 하게 되는 이 상황을! 머피도 너무나 잘 알고 있습니다.

 

2019 Smart Farm Purpose Built Network Install (47).jpg

 

 


 

 

그래서 준비해봤습니다! 올즈 컬리지, 농업에 대한 모든 것!

 

1. Agribusiness 과정은 무얼 배우나요?

 

올즈 컬리지 농업비즈니스 학과를 보시고 흥미를 느끼시는 분들이 가장 궁금해하시는 부분인데요.

 


[꾸미기]올즈 농업 문의.jpg

 

[꾸미기]농업 경력이 아닌데 가능한가요.jpg

 

농업비즈니스 학과는 쉽게 설명 드리면 “경영학과”라고 생각을 해주시면 되시고, 그 안에 농업이라는 특정 산업에 특화된 경영학을 배우는 것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올즈 컬리지가 소개한 Agribusiness학과 학사내용에도 다음과 같은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는 걸 보실 수 있는데요.

 

올즈컬리지 농업비즈니스 학과 내용.jpg


문구만 보면 경영학과에서 다루는 학사내용과 일치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학과 과정도 살펴보면 경영, 재무, 전략 등등 전반적인 경영수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안에 농업에 맞춰 연구할 수 있는 과목이 추가되어 있습니다.

 

커리큘럼.jpg

 

따라서 농업관련 학위나 경력이 없다고 하더라도 학업을 따라가는 데 어려움이 있지 않고, 오히려 실무 경험이 있는 분들이라면 더 전략적으로 이 학과를 통해서 효과적으로 새로운 산업에 적응하실 수 있는 장점이 될 수 있다고 자신합니다.

 

2. 학업 기간이 2년인데, 학과 졸업 실제로 학사(Bachelor’s degree) 학위를 받게 되나요?

 

네 맞습니다.

 

Agribusiness 학과의 정식 명칭은Bachelor of Applied Science Degree ? Agribusiness이며, 학교에도 정식으로 학사학위 학과로 개설되어 있습니다.

학과 과정은 2년의 디플로마과정과 동일하며 첫 학년(3학년)에는 캠퍼스 내에서 이론 수업을 듣게 되며 

마지막 학년(4학년)엔 필드수업 즉, 실제 회사에 인턴으로 취업을 하게 됩니다.

2년의 기간을 마치면 여러분들은Bachelor of Applied Science in Agribusiness학위를 받게 됩니다.

 

학위.jpg

 

따라서 농업비즈니스에 입학할 수 있는 자격은2년 전문학사 이상의 학위를 보유한 학생이어야만 가능합니다.

 

3. 농업과 전무한 전공/경력인데 입학지원 가능한가요?

 

, 가능합니다

물론 공식 홈페이지 상 안내되어 있는 입학규정은 다음과 같이 농업, 원예, 식품영양학 등 관련 학과를 졸업한 학생에 안내가 되어있습니다만

 

입학요건.jpg

 

하지만 학과 과정과 학생들의 니즈, 가능성을 두고 학교 내부에서 많은 논의가 이뤄졌었다고 합니다

이에 올 2월부터 전공무관! 전문학사 이상 하위를 졸업한 “누구나” 입학지원이 가능하도록 변경되었는데요.

 


Agribusiness 입학규정 변경.jpg


[꾸미기]농업경영 전공무관 입학가능.jpg

 

, 학업 능력 평가를 위해 자기소개서 또는 경력기술서(경력 있는 지원자) 제출을 하게 됩니다.

농업/식품업/원예 등 관련 경력이 없다고 하더라도 입학지원에 결격 사유가 되는 것은 아니며

실제로 농업비즈니스 학과에 지원한 머피 고객분들 중에서도 상당수는 관련 학위 및 경력이 없는 분이 시기 때문에 머피와 상의 해주시면 되겠습니다.


4. Agribusiness학과 졸업 후 취업률과 어떤 직무로 취업이 되나요?

 

올즈 컬리지는 캐나다 유일 농업전문학교이기 때문에 각 분야에 취업률이 높은 편인데요

평균 졸업생들은 취업률은 95%정도이고, 농업비즈니스 학과와 같은 농업특화 학과는 98%의 취업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올즈컬리지는 학교에 특색이 뚜렷한 만큼 로컬학생들의 비중이 높은 학교로도 알려져 있는데요.

 

학교 취업률.jpg

 

그래서 취업률이 높다고 생각하실 수도 있지만, 수요가 많은 만큼 인력은 계속 부족하기 때문에 국제학생들도 차별 없이 취업을 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로컬/국제학생 막론하고 취업이 잘되는 이유는 학교의 전폭적인 취업지원도 한 몫 한다고 합니다.

실제로 올즈컬리지 잡페어는 캐나다/미국 내 내로라하는 농업전문 회사들이 대거 참여할 뿐만 아니라

잡페어가 아니어도 농업(농기구, 농장, 가공품 등), 식품업, 원예/화훼 등 다양한 업장에서 학교에 방문하여 인력충원의 기회를 엿본다고 합니다.

아래는 실제 잡페어에 참여하는 회사리스트 일부로 약 150~200여개 이상의 업체가 참여하는 대규모 잡페어로 이뤄집니다.

 

화면 캡처 2025-04-11 170716.jpg

 

한편, 농업비즈니스 학과를 졸업하고 어떤 근무를 하시는지 많이 궁금해하시는데요.

실제 취업을 한 졸업생들 현황과 학교에서 받은 답변에 따르면,

농업비즈니스 학과를 졸업한 학생들은

NOC 21112코드인 Agricultural representatives, consultants and specialists

포함되는 직종에 취업이 된다고 합니다.

 

화면 캡처 2025-04-11 170902.jpg

 

NOC 21112코드에 관련된 직종으로는 다음과 같은 직종이 있는데요.

그 중에서도 표시해드린 포지션으로 취업이 가장 많이 된다고 합니다.

 

화면 캡처 2025-04-11 170918.jpg

 

알버타주 내 Agricultural representatives, consultants and specialists

포함되는 직종 평균 시급은 약 42불로 평균 83000불 정도 연봉을 기대할 수 있는데요.

 

이는 학사이기 때문에 일반 컬리지 학위보다 조금 더 높은 시급을 기대할 수 있고,

경력이 쌓이면서 더 높은 연봉을 확보할 수 있는 전문 분야이기 때문에 높은 연봉을 계속해서 기대할 수 있겠습니다

 

연봉.jpg

 

평균 연봉.jpg

 

특히, 영주권 취득 후에는 전문 경영컨설팅업체로도 발전을 기할 수 있어, 유학 후 이민 계획에도 폭 넓게 적용할 수 있겠습니다.

 

5. 올즈 지역 정착 및 생활

 

학교만큼이나 올즈라는 지역이 생소하셔서 이 지역으로 학교를 가면 어디에 거주를 하나, 자녀들 학비 무상이나 학교는 괜찮나.. 하는 걱정들이 많으시더라고요.

먼저 가장 걱정하시는 자녀무상 여부는 가능! 하다고 말씀드리고요.단, 어학연수 중에는 자녀무상이 되지 않습니다.

다음으로 거주지가 걱정이 되실텐데요

올즈 컬리지는 올즈라는 지역에 위치하고 있고, 거주지역은 인근 신도시인 에어드리(Airdrie)라는 곳에서 거주하시는 편입니다.

 

올즈, 에어드릴지도.jpg

 

올즈컬리지와 에어드리는 자차로 약 30분 정도이고, 에어드리에서 캘거리까지도 역시 약 30이내라 캘거리 도시권 내 생활이 가능하다고 보셔도 되겠습니다.

에어드리 지역은 알버타 주에서도 백인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이면서 젊은세대가 많이 사는 지역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특히 아직  잘 알려지지 않은 곳 중 한 곳이기 때문에 이민자수가 적어 자녀분들 학업 분위기나 영어를 늘리는데 적합한 지역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꾸미기]에어드릴생활.jpg

 

렌트비도 비교적 저렴한 편으로 2-3beds기준 1,750~2,500불 사이로 형성이 되어 있습니다. 특히 에러드리는 우리나라 과천과 자매도시이기 때문에 친근하다는 말씀도 많으시더라고요.

 

i_811ffa36ba40.jpeg

 

에어드리는 앞서 말씀드린대로 캘거리 생활권이라고 해도 무관할 정도로 편리성을 자랑하는데요

캘거리 국제공항까지 20분, 코스트코까지 약 10분, H마트까지 20분, 대형 아울렛쇼핑몰인 크로스아이론 밀까지 약 15분내 형성되어 있어 

캘거리보다 생활비는 싸지만 캘거리 생황을 누릴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에어드리 내교육청은 4개로 영어와 프렌치 이머전이 있습니다만,

Rocky View School division은 영어교육청

Ecole Francophone d'Airdrie 불어교육청을 비교해서 거주지를 선택하시는 편입니다.

 

머피 추천으로는 자녀분이 영어를 어느정도 한다면 Ecole Francophone d'Airdrie교육청

영어부터 차근히 배워야 한다면 Rocky View School division을 비교하시는 것도 자녀 교육 계획에 도움이 되시리라 생각됩니다.

 

6. 영주권 연계 가능성

 

알버타에서 그것도 낯선 농업관련 학위로 취업을 해서 과연 영주권까지 안전하게 정착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고민도 많으신데요. 올즈지역까지 선택을 했다는 건, 결국 확실한 영주권 플랜을 윈한 중대 결정이시기 때문에 그 고민이 어떤 마음에 부담을 주는지도 머피는 너무 잘 알고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올즈컬리지 농업비즈니스 학과를 졸업하시면 3년의 PGWP를 확보하게 되실텐데요

알버타 주에서는 2가지 카테고리로 준비를 하실 수 있겠습니다.

하나는 일반적으로 알버타 주에서 유학후이민을 하면 신청을 AOS이, 또 하나는 올즈컬리지 졸업생들의 최대 장점인 RRS, 즉 알버타 Rural프로그램으로 신청을 할 수 있겠습니다.

 

먼저 AOS조건에 따르면 TEER 0, 1, 2, 3 직종에서 취업이 되는 경우, CLB5이상의 어학성적을 필수로 보유해야 하며 학과 전공에 해당하는 직종에서 풀타임으로 취업이 된 후, 일정기간의 경력이 있어야 선발 요건을 충족할 수 있다고 볼 수 있는데요.

앞서 농업비즈니스 학과 졸업생은 대체적으로NOC 21112코드인 Agricultural representatives, consultants and specialists에 포함된 직종에 취업이 된다고 말씀드렸습니다.

이때, 고용조건을 살펴보면 알버타 주 내에서 학업을 한 졸업생들은 6개월 경력을 쌓으면 알버타 주정주 풀에 등록을 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는데요.

 


AOS경력.jpg

 

, 알버타주의 경우, 학과 과정에 포함된 유급인턴쉽도 경력으로 인정을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마지막 학년이 유급 인턴십으로 구성되어 있는 농업비즈니스 학과를 졸업한 분들은 졸업 후, 바로 영주권 신청을 할 수 있는 자격요건을 갖추실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올즈 컬리지를 선택할 수밖에 없는 또 하나의 옵션, RRS 프로그램도 짚고 넘어가셔야 할 텐데요.

RRS Rural Renewal Stream의 약자로 알버타 주 내에 다양한 인재를 영입해 농촌 지역 발전에 기여하며, 이에 해당하는 인력들이 보다 안정적으로 정착하여 지역경제에 이바지할 수 있는 것을 기대하며 만든 영주권 프로그램이 되겠습니다.

 

RRS는 알버타주 외곽지역에 발전을 꾀하는 만큼 지정된 지역에서 근무를 하며 거주하는 사람만 신청할 수 있는데요. 이 지정된 지역에 바로 올즈(olds)지역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Community

Designation Date

City of Brooks (including: Town of Bassano, Village of Duchess, County of Newell, Village of Rosemary)

May 13, 2022

City of Grande Prairie

July 6, 2022

Town of Whitecourt

July 20, 2022

Town of Taber (including: Municipal District of Taber, Town of Vauxhall, Town of Coaldale, Town of Picture Butte, Lethbridge County, Town of Cardston, Town of Milk River, Town of Raymond, Town of Nobleford)

July 20, 2022

Town of Innisfail (including: Town of Olds, Town of Bowden)

September 9, 2022

Municipal District of Smoky River (including: Town of Falher, Village of Donnelly, Village of Girouxville)

September 9, 2022

County of Grande Prairie (including: Town of Sexsmith, Town of Wembley, Town of Beaverlodge, Village of Rycroft)

September 9, 2022

Town of Trochu (including: Village of Acme, Town of Three Hills, Village of Linden)

September 9, 2022

Fort McMurray Wood Buffalo

September 9, 2022

Municipality of Jasper

September 13, 2022

County of Barrhead (including: Town of Barrhead)

November 8, 2022

Town of Hinton

November 8, 2022

Town of Fairview (including: Village of Hines Creek)

January 13, 2023

City of Medicine Hat (including: Cypress County, Town of Bow Island, Town of Redcliff)

January 13, 2023

Town of Fox Creek

February 13, 2023

City of Cold Lake

March 10, 2023

County of St. Paul (including: Town of St Paul, Town of Elk Point, Summer Village of Horseshoe Bay)

March 10, 2023

Town of Drayton Valley

March 10, 2023

Town of Slave Lake (including: Sawridge First Nation, Town of High Prairie, Municipal District of Opportunity)

March 10, 2023

City of Lloydminster

March 29, 2023

City of Lethbridge

March 29, 2023

Town of Westlock

March 29, 2023

Municipal District of Greenview No.16 (including: The Town of Valleyview)

March 29, 2023

Town of Peace River

June 14, 2023

City of Wetaskiwin

August 2, 2023

Special Areas 2, 3, 4 (including: Town of Hanna, Town of Oyen, Village of Consort, Village of Empress, Village of Veteran, Village of Youngstown, Municipal District of Acadia No. 34)

August 2, 2023

Growth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Alliance (including: Woodlands County, Town of Swan Hills, Town Mayerthorpe)

September 22, 2023

County of Northern Lights (including: Town of Manning)

September 22, 2023

Town of Bonnyville

September 22, 2023

Town of Two Hills

September 22, 2023

Lac La Biche County (including: Hamlet of Lac La Biche, Hamlet of Plamondon and Greater Region)

October 4, 2023

Town of High Level

December 14, 2023

Town of Didsbury

December 14, 2023

Town of Coronation (including, County of Paintearth, Hamlet of Brownfield, Town of Castor)

September 9, 2024

Smoky Lake Region (including Smoky Lake County, Town of Smoky Lake, Village of Vilna, Village of Waskatenau)

September 9, 2024

Town of Rocky Mountain House

December 13, 2024


 

특히 이 지역에서 2년 이상의 학업을 한 경우, 충족 기준 경력이 없어도 RRS로 영주권 신청이 가능하기 때문에 더 빠르게 영주권 신청이 가능하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Green and White Modern Ultimate Growth Booster Flyer (1).jpg

 

지금까지 올즈 컬리지 농업비즈니스 학과를 한번이라도 흥미(?)를 갖고 보신 분들이 

늘 머피에게 한 분도 빠짐없이 해주시는 질문을 토대로 FAQ를 만들어 보았는데요

생각보다 정말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갖고 계시고,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잠재력을 보고 고민을 하십니다.

이는 학사 과정이라는 장점과 더불어, 이 학과를 고민하시는 분들 대체적으로 

이미 한 분야에서 오래된 경력을 쌓고 계시기 때문이기 때문에 진가를 알아보시는 것 같은데요.

 

백 번의 말보다 한번 확신을 갖고 확실한 정보를 얻으시는 게 더 도움이 되시리라 생각됩니다.

25년 4월 17일 저녁 6시 오늘 FAQ에서 다룬 내용에 외

실제 올즈(에어드리) 거주하는 이민자이자, 올즈컬리지 담당자인 케이님을 통해

올즈 컬리지, 재학생/졸업생들 현황, 그리고 찐생활에 대해 낱낱이 안내드릴 예정이고요.

 

그리고 캐나다 이민 전문가 머피가

알버타 주에서 영주권을 취득할 수 있는 현실 가능성에 대해 가감없이!

확실하게 안내를 드릴 예정입니다.

 

[세미나 자세히 보기]

 

이번 세미나 청사진으로만 구성하지 않았습니다.

청사진으로 시작하는 이민 생활은 완벽하게 계획대로 움직이실 수 없습니다.

 

2025.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