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이민/유학] PGWP 발급학과에만 올인하는 캐나다유학

등록일 : 2025-07-01 / 조회 : 156

 

pexels-burst-374870.jpg

 

"  
PGWP 발급학과에만 올인하는 캐나다유학, 과연 맞을까? (부제, 캐나다 노동시장을 보라)

"  

 

많은 국제학생들이 캐나다 유학을 고려할 때, PGWP(Post-Graduation Work Permit) 발급이 가능한 프로그램을 선택하는데 열을 올리는 것은 너무나 당연합니다. PGWP를 통해 보다 쉽게 캐나다 노동시장에 투입되어 Express Entry 등과 같은 영주권 프로그램으로 연계할 수 있는 중요한 발판이 되기 때문입니다. 캐나다 정부가 PGWP 가능 직군들을 소팅하여 이를 통해 노동시장이 원하는 분야를 유도하는 것은 상당한 파워를 가진 정책이기도 합니다. 

 

그런데, 이번 6월 PGWP 가능 CIP 코드가 업데이트되면서, 커다란 물음표가 머릿속에서 떠나지 않고 있습니다. 2024년 처음 PGWP 가능 프로그램이 소개되었을 때부터 품었던 작은 꼬리표 수준의 그것이 이제는 제법 커져 속을 시끄럽게 만들고 있습니다. 오늘은 그 얘기를 해보려 합니다.

 

“PGWP 가능한 학과, 그들만 바라봐야 할까?”

 

가장 최근 PGWP 가능 직군의 변동 사항을 보면, 현재의 우선순위가 미래에도 유지될 것이라는 보장은 없습니다. 지금 당장은 PGWP 대상에서 제외되더라도 -공급과잉과 같은 단순한 이유를 빼고서라도, 캐나다 노동시장의 변화, 직군별 우선순위 배정의 변동, 농업분야와 같이 새로운 노동자 유치 방안 운영 등, PGWP 가능 직종을 업데이트 하는 이유는 꽤나 다양합니다-캐나다 전체 노동시장에서 꾸준히 수요가 발생하고 중요한 몫을 할 직군들이 분명 존재합니다. 

 

특히 한국학생분들의 경우 이미 학위를 가지고 캐나다 유학을 통해 영주권까지 고려하는 경우가 많지요. 따라서, 학업 기간이 길지 않다거나, 공부하기 쉽다거나, 혹은 PGWP 가능한 학과들만 보는 경향이 있는데, 이러한 단기적 시야가 독이 될 수도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강조드리기는 PGWP 가능한 학과를 선택하는 것은 또한 너무나 당연하기도 합니다. 당장  머피고객분들께 먼저 PGWP 가능한 학과부터 꺼내 놓게 될 테니, 허허참,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글이 과연 설득력이 있을까? 라는 걱정을 잠깐 해봅니다.

 

자, 오늘은 PGWP 에 연연하지 않는 -연연하지 않는다는 것은 PGWP 발급이 가능한 직종도 포함되었다는 의미입니다^^

- “멀리 보는 캐나다유학”이라는 주제에 충실해 보겠습니다.

 

1. PGWP 발급 리스트의 변동 가능성으로 인한 불확실성

캐나다 이민국(IRCC)은 2024년부터 국제학생 규제 방안의 하나로 PGWP 발급기준을 적용하기 시작했으며, 2025년 6월 25일에는 학위 프로그램을 제외한 하위 프로그램에 대한 PGWP 자격 요건을 업데이트 했습니다. 

 

2025년 6월 25일 주요 변경사항

-       178개 학과가 PGWP 가능 목록에서 제외되고, 119개 학과가 새로 추가되었습니다.

-       총 920개의 학과가 PGWP 대상에 포함되었으나, 이전 대비 178개가 줄어든 숫자입니다.

-       의료, 사회복지, 교육, 기술직 분야의 프로그램이 추가된 반면, 운송 관련 프로그램이 대부분 제외되었고 농업 및 농식품 분야 역시 축소되었습니다.

-       분명한 수요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직업군 중에도 이번 변경에서 PGWP 발급이 누락된 직군들이 있습니다. 이는 PGWP 가능 목록이 단순히 노동시장 수요뿐만 아니라, 정부의 이민 정책 방향 및 해당 산업의 특정 이슈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이러한 변화는 캐나다 정부가 자국 노동시장의 단기적인 요구와 이민자 수용 목표를 조절하기 위해 PGWP 제도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따라서 현재 PGWP 가능하다고 해서 미래에도 그럴 것이라는 안일한 생각은 위험합니다. 중요한 것은 캐나다 경제의 구조적인 변화와 장기적인 노동시장 수요를 읽어내는 안목입니다.

 

2. 고령화와 기술발전이라는 거대한 흐름속의 캐나다

향후 10년을 넘겨짚어, “고령화”와 “기술발전” 두가지의 키워드를 바탕으로 하는 직업군은 꾸준히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보건의료 : 간호사,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 사회복지사, 의료 보조 인력 등 다양한 직업군에서 지속적인 구인난이 예상됩니다. PGWP 가능 목록에서도 의료 분야가 강화된 것은 이러한 장기적인 수요를 반영하며, 향후에도 지속될 것임이 예측 가능합니다.

 

Practical Nursing:Conestoga College, Algonquin College, George Brown College, Mohawk College 등 다수의 컬리지에서 2년제 디플로마 과정을 제공합니다.

 

Occupational Therapy Assistant: SAIT, MITT, Cambrian College 등, PN 과정에 비해 보다 다양한 주에서 1-2년의 OTA/PT 과정을 제공합니다.

 

2-2)        기술직 및 스킬트레이드 : 건설, 제조업, 서비스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배관공, 용접공, 목수 등은 꾸준한 수요가 있으며, 안정적인 수입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Heavy Duty Equipment Technician: NAIT, RRC 등에서 중장비 정비 기술자를 양성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       Carpentry : Durham College, Confederation College, St. SAIT 등에서 1-2년 과정의 목공 기술을 배울 수 있습니다.

 

2-3)        정보통신기술 : 인공지능(AI), 데이터 과학, 사이버 보안 등 첨단 기술 분야 대한 지원과 투자는 전세계적인 트랜드입니다. 캐나다 역시 해당 분야를 통해 기술강국을 목표로 합니다.

 

Data Analytics : George Brown College, Conestoga College 등에서 Post-Graduate Certificate 과정을 제공합니다.

-    Cybersecurity : Seneca College, BCIT 등에서 관련 디플로마/수료증 과정을 제공하며, 대학에서는 보다 심화된 학위 과정을 운영합니다.

-    Software Development / Web Development (컬리지):대부분의 컬리지에서 실용적인 개발 기술을 가르칩니다.

 

2-4)        교육 서비스 :캐나다 정부는 부모들의 경제 활동 참여율을 높이고, 모든 아이들에게 양질의 보육서비스에 접근할수 있도록 함을 목표로 합니다. 특히 캐나다 유아교육분야 종사자의 39%가 이민자이며, 특히 가정 보육 제공자의 50%이상이 이민자임을 고려할 때, 이분야의 수요가 감소할 것이라는 예측은 쉽지 않습니다.

-       Early Childhood Education (ECE) : Sheridan College, Humber College, RRC, SAIT 등에서 ECE 디플로마 과정을 제공합니다. 이민자에게 의존하는 직군이라는 의미는 곧 이민정책에 열려 있다는 의미입니다.

 

2-5)       환경 및 지속 가능한 에너지 :기후 변화 대응 및 지속 가능한 성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환경 과학자, 재생 에너지 기술자, 환경 컨설턴트 등 관련 전문가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Environmental Technology : Fleming College, Fanshawe College 등에서 환경 모니터링, 폐기물 관리, 수질 분석 등 실용적인 기술을 가르칩니다.

 

 Renewable Energy Technician  :Algonquin College, Lethbridge Polytechnic 등에서 태양광, 풍력 등 재생 에너지 시스템 설치 및 유지보수 전문가를 양성합니다.

 

3. 각 직종별 전망 및 수요 기반 분석

위 대표직군들을 포함하여, 머피가 주목하는 직종위주로 각 직군들에 대한 수요도를 살펴보겠습니다. (Job Bank를 기반으로 하며, 일반적으로 향후 3년 단위를 기준으로 "Very Good", "Good", "Moderate", "Limited" 등으로 구분했습니다.)

 

3-1) 의료 및 사회 지원 분야

캐나다의 의료 부족은 캐나다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본질적인 수요입니다. 또한, 의료 전문직은 면허가 필수적이라 해외 인력의 유입이 상대적으로 제한적이므로, 학업을 통한 자국 내 인력 양성이 더욱 중요합니다.

-       Dental Hygiene : 대부분의 지역에서 Good에서 Very Good수요 예측,캐나다 전역에 걸쳐 병원 외래 진료 서비스에서 95% 이상 고용.

e  캐나다는 고령 인구의 증가로 구강 건강 관리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으며, 질병 치료보다는 예방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어, 구강 질환 예방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분야가 바로 치위생사입니다. 여기에 일부 주에서는 치위생사의 업무 범위를 확대하여 독립적으로 진료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추세이며, 치위생사에 대한 수요를 더욱 증가시키는 촉매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       Medical Laboratory Technology :대부분의 지역에서Good에서 Very Good. 주로 병원(69%) 및 외래 진료 서비스(28%)에서 일하며, 정년 퇴직으로 인해 상당수의 일자리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

e  인구가 증가하고 만성 질환 발병률이 높아지면서 더 많은 검사가 필요해 졌습니다. 여기에 현재 종사자들의 은퇴로 인한 인력 충원 수요가 꾸준히 발생하고 있습니다.

 

-       Diagnostic Medical Sonography :대부분의 지역에서Good에서 Very Good. 진단 의료 초음파 검사자 및 심혈관 기술자는 2023년부터 2033년까지 고용이 11%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매년 약 9,400개의 일자리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 주로 은퇴 등으로 인한 인력 교체 수요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파악.

e  방사선 노출 없이 안전하게 내부 장기를 진단할 수 있어 점차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심장 초음파, 혈관 초음파, 산부인과 초음파 등이 높은 수요를 견인합니다. 고령 인구 증가로 인한 심혈관 질환, 암 등 다양한 질환의 진단 수요가 증가합니다.

 

3-2) 기술직 및 숙련공 분야

인구 고령화로 인한 숙련 인력의 은퇴, 새로운 인프라 건설 및 유지보수 수요, 그리고 산업 전반의 자동화 및 현대화에 따라 꾸준한 수요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캐나다인의 숙련 기술직에 대한 지원이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함에 따라, 이민 정책도 숙련공 유치에 우호적입니다.

 

-      Aircraft Maintenance Technician : 특정 지역 및 분야에 따라Moderate에서 Good. 미국 노동통계국(BLS) 자료에 따르면 항공기 및 항공 전자 장비 정비사의 고용은 2023년부터 2033년까지 5%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평균 수준에 해당. 매년 약 13,400개의 일자리 발생.

e  국제선 및 국내선 항공 교통량의 장기적인 증가, 노후 항공기 교체 수요 등이 정비 수요가 발생합니다. 숙련된 정비 인력의 은퇴와 이직으로 인한 충원 수요가 발생할 수 있으나, 워낙 경기 흐름을 타는 분야이니 적성에 따라 신중하실 필요가 있습니다.

 

-       Industrial Millwright :전국적으로Moderate에서 Good (지역에 따라 큰 편차). 제조업 기반이 강한 주에서 특히 높은 수요.

e  자동화 및 현대화 산업 현장의 자동화가 가속화될수록, 복잡한 로봇 및 자동화 설비의 설치, 유지보수, 문제 해결을 담당할 Millwright의 역할은 더욱 중요해집니다. 젊은 층의 기술직 기피 현상과 기존 숙련공의 은퇴로 인한 인력 부족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3-3) 정보통신기술 (ICT) 분야

캐나다의 ICT 분야는 정부의 디지털 경제 전환 정책, 스타트업 생태계의 성장, 그리고 전 산업 분야에서의 디지털 기술 도입 가속화로 인해 급성장하고 있습니다. 이는 캐나다 경제의 새로운 성장 동력입니다.

 

-      Business Analyst : 전국적으로 Good에서 Very Good. 온타리오주에서 "Very Good"이며, 브리티시컬럼비아주에서도 "Good" 수준.

e  모든 기업이 디지털 전환을 추진하면서 IT 시스템 도입 및 효율적인 데이터 활용의 중요성이 커지고, 이를 분석하고 적용할수 있는 비즈니스 분석 수요가 증가합니다. 산업 전반의 디지털화에 따른 본질적인 수요라고 볼수 있습니다. 빅데이터 시대에 기업들은 데이터를 통해 비즈니스 기회를 찾고 문제를 해결하려 하며, 비즈니스 분석가는 이러한 과정의 핵심 역할을 합니다. 이 분야는 자동화로 대체되기 어려운 분석 및 전략 수립 역량을 요구합니다.

 

-       UI/UX Design :전국적으로 Good에서 Very Good. 특히 디지털 미디어 산업의 성장에 따라 웹 및 멀티미디어 디자이너에 대한 수요가 높음을 시사.

e  웹사이트, 모바일 앱, 소프트웨어 등 모든 디지털 제품에서 사용자 경험이 성공의 핵심 요소가 되면서, UI/UX 디자인은 필수가 되었습니다. 새로운 디지털 제품과 서비스의 출시가 활발해지면서, 직관적이고 매력적인 인터페이스를 설계할 디자이너 수요가 늘어납니다. 특히 시장에서 차별화를 위해 좋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해지면서, 관련 전문 인력에 대한 투자가 확대됩니다.

 

-       Data Science and Big Data Analytics :전국적으로 Very Good. 데이터 과학자는 광범위한 IT 직군 내에서도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분야 중 하나.

e 지금은 빅데이터의 시대입니다. 기업들이 방대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수집, 분석, 활용하여 비즈니스 가치를 창출하려는 노력으로 인해 데이터 과학자는 모든 산업에서 핵심 인력으로 부상했습니다. 정보화 사회의 본질적인 수요입니다. 특히 AI 및 머신러닝 모델 구축 및 최적화에 데이터 과학자의 역할이 필수적이며, 관련 기술 발전이 수요를 견인합니다.

 

3-4) 환경 및 지속 가능한 에너지 분야

캐나다 정부의 강력한 기후 변화 대응 정책과 지속 가능한 성장 목표는 환경 및 재생 에너지 분야의 수요를 견인하는 주요 요인으로, 국가 정책 및 글로벌 트렌드에 따른 본질적인 수요입니다.

 

-      Environmental Technician :전국적으로 Good. 환경 보호 및 복구 프로젝트 증가가 주요 요인

e  캐나다정부의 수질, 대기, 폐기물 관리 등 환경 보호를 위한 규제에 따라 환경 분야의 전문가를 고용하고자 하는 수요가 지속됩니다. 토양 오염 정화, 수질 개선, 폐기물 처리 등 실제 환경 문제 해결에 필요한 실무 인력 수요가 높습니다. 친환경 건설, 녹색 기술 개발 등 지속 가능한 개발 프로젝트가 증가하면서 관련 기술 전문가의 수요가 꾸준합니다.

 

-       Renewable Energy Technician :전국적으로 Good에서 Very Good. 재생 에너지 기술의 발전과 비용 효율성 증가가 시장을 확대 시키는 주된 요인. 캐나다 정부가 2050년까지 탄소 중립을 달성하기 위한 목표를 세우면서, 특히 풍력 에너지 부문에서 상당한 성장을 목격할 것으로 예상. D

e  캐나다 정부는 2050년 탄소 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풍력, 태양광, 수력 등 재생 에너지 발전소 건설 및 유지보수에 대규모 투자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화석 연료 의존도를 줄이고 청정 에너지로의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재생 에너지 시스템 설치, 유지보수, 운영을 담당할 전문 기술 인력이 필수적입니다. BloombergNEF 보고서에 따르면, 캐나다의 청정 에너지 기술 및 인프라 투자는 2024년에 19% 증가하여 350억 달러를 기록, 전 세계 8위를 차지했으며 2023년부터 2050년까지 전력 부문에서만 약 6만 개의 새로운 일자리가 창출된다고 합니다. 정치적 환경과 국제 관계등이 영향을 미칠수 있는 분야임에도 불구하고, 이미 대규모 투자가 진행중인 재생에너지로 전환의 흐름을 뒤집기 어렵다고 보는 근거입니다.

 

3-5) 농업 및 식품 산업

캐나다 농업 및 식품 산업은 인구 고령화로 인한 농촌 인력 감소, 식량 안보의 중요성 증대, 기술 융합 농업으로의 전환, 그리고 글로벌 식품 시장 수요로 인해 지속적으로 인력 수요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PGWP 목록에서 농업 관련 프로그램이 줄었다는 것은 특정 학과의 행정적 분류 문제일 가능성이 높으며, 캐나다 농업의 본질적인 노동력 부족 문제는 해결되지 않고 있습니다. 특히 농촌 지역의 경제 활성화 및 인구 유지를 위한 이민 정책과 맞물려 장기적으로 주목해야 할 분야입니다.

 

-       Agricultural Management : Moderate에서 Good. 고용 성장은 제한적이지만, 은퇴로 인해 상당수의 일자리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

e  현대 농업은 기술, 재정, 환경 규제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야 하는 복잡한 사업이므로, 전문적인 경영 지식을 갖춘 인력이 필요합니다. 또한 IoT, AI, 빅데이터 등을 활용한 스마트 농업 시스템을 관리하고 효율화할 수 있는 경영 인력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노령화로 인한 퇴직인구가 늘어나고 있다는 점 또한 농업의 미래를 밝게 하는 요인입니다.

 

-      Horticulture :지역 및 세부 분야에 따라 상이하지만, 전반적으로 Moderate에서 Good. 캐나다 전역에 걸쳐 특히 온타리오, 브리티시컬럼비아 등지에서 원예 산업이 활발.

e  신선 채소, 과일, 특용 작물 등 고부가가치 원예 작물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생산 및 관리 전문가가 필요합니다. 또한 캐나다는 기후적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 온실 농업이 발달하고 있으며, 이는 전문적인 온실 관리 및 작물 재배 기술 인력 수요를 창출합니다.

 

-       Food Processing Technician : 전국적으로 Moderate에서 Good.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육류 소비량 감소에 노동력 부족, 수입 제한과 같은 공급망의 일시적인 혼란이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될 정도로 안정적인 인력 공급이 중요한 분야.

e  소비자들의 식품 안전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식품 가공 과정 전반의 위생 및 품질을 관리할 수 있는 전문 기술 인력의 중요성이 커집니다. 편의성 및 보존성을 중시하는 현대인의 식생활 변화에 따라 다양한 가공 식품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       Agricultural Equipment Technician / Heavy Duty Mechanic :2024년부터 2033년까지전국적으로 Strong risk of shortage (강한 인력 부족)에 직면할 것으로 예상. 특히 알버타에서는 3년 예측에서 Hot 으로 분류.

e  주로 농업 장비 관련 샵에서 고용되지만, 대규모 농장이나 맞춤형 수확 회사에서도 기회를 찾을 수 있습니다. 엔진, 유압, 동력 전달 장치, 에어컨, 기계 및 전기 시스템 등 광범위한 지식과 기술이 요구됩니다. 대부분의 주에서 3~5년의 도제 프로그램 이수 또는 4년 이상의 현장 경험과 관련 교육 과정 이수하면, Red Seal 자격증을 취득할수 있고 이는 캐나다 전역에서 인정받습니다. 앨버타의 경우 연봉이 평균 $87,539 (시급 $41.57)로 높은 편입니다.

 

 

지루함, 지리한 글을 마무리하며,

 

앞으로도 PGWP 정책이 언제 어떻게 변동될는지 누구도 알수 없습니다. 실은, 2024년 당시 PGWP 가능직군으로 포함되었던 목록들에 대한 적합성 평가가 진행되었는지조차 의심스럽습니다. PGWP 가능 혹은 불가능으로 직군들을 분류함으로써 이러한 정책이 캐나다 노동시장에서 어떻게 작동했는지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선행되었어야 하는데, 그에 대한 적절한 분석이 있었다고 하기에는 물리적인 시간이 너무 부족해 보입니다. 그리고 지난달 우리는 다시 새로운 PGWP 가능 직군 리스트를 맞대하게 되었습니다.

 

“PGWP 가능한 학과, 그들만 바라봐야 할까?”

 

우리가 순간의 정책변화에 일희일비하기보다, 장기적인 안목으로 자신에게 맞는 분야를 선택하고 전문성을 쌓아야 할 이유입니다. 위에 제시한 의료, 기술직, IT, 환경, 농업 분야는 PGWP의 단기적인 변동성에 흔들리지 않고 캐나다에서 안정적인 커리어를 구축할 수 있는 잠재력이 높은 직업군들입니다. 지금은 캐나다 사회의 본질적이고 구조적인 수요를 반영하는 분야를 선택하고 스스로를 업그레이드하는 노력이 절실한 때입니다. 

 

2025.jpg